fnctId=prof,fnctNo=340 안영진(Young-Jin Ahn) 직위(직급) 교수 연구실 사회과학대학 454호 교수전공 및 연구분야 경제지리학, 사회지리학, 지리학이론, 지역발전론, 유럽지역연구 연락처 062-530-2686 이메일 yjahn@chonnam.ac.kr 홈페이지 - 학력 ■ 1982.03 - 1986.02.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학사 ■ 1986.03 - 1988.02.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석사 ■ 1988.03 - 1992.02.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과정 수료 ■ 1992.03 - 1998.02. 독일 뮌헨공과대학교(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) 지리학과 박사(Dr. phil.) 경력 ■ 1998 - 1999. 서울대학교 연수연구원(Post-Doc.) 및 사회과학연구원 상근연구원 ■ 2001 - 2002. 한국경제지리학회 총무(차장)이사 ■ 2003 - 2004. 대한지리학회 국제(차장)이사 및 한국경제지리학회 총무(부장)이사 ■ 2004 - 2008. 국제지리연합(IGU) 문화지리학분과 운영위원 ■ 2005 - 2006. 대한지리학회 학술(부장)이사 ■ 2005 - 2008. 국토지리학회 편집위원장 ■ 2005 - 2012. 한국경제지리학회 이사 및 편집위원 ■ 2005 - 2013.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Geography 편집위원 ■ 2007 - 2008. 대한지리학회 감사 및 한국지역지리학회 홍보(부장)이사 ■ 2007 - 2010. 한국공간환경학회 편집위원 ■ 2008 - 2010.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전문위원 ■ 2008 - 2009. 독일 본(Bonn)대학교 방문교수 ■ 2009 - 2010. 대한지리학회 총무이사 ■ 2010 - 2011. 한국지역지리학회 부회장 ■ 2010 - 2019.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평가자문단 위원 ■ 2011 - 2012. 대한지리학회 편집위원장 ■ 2012 - 2015. 한국사회과학협의회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편집위원 ■ 2012 - 2016. 전라남도 투자심사위원회 위원 ■ 2013 - 2014. 한국경제지리학회 부회장 및 한국지역지리학회 편집위원, 경제지리학회 편집위원 ■ 2013 - 2015. 전남대학교 재정관리본부장 ■ 2015 - 2016. 한국지역지리학회 편집위원장 ■ 2015 - 2017. 전남대학교 기획조정처장 ■ 2017 - 2018. 독일 예나(Jena)대학교 방문교수 ■ 2017 - 현 재 광주전남연구원 연구자문위원회 위원 ■ 2018 - 2018. 한국경제지리학회 회장 ■ 2019 - 2020. 한국지역지리학회 회장 저서 및 역서 ■ 1998. 사회지리학 : 사회공간이론과 지역계획의 기초, 법문사 (공역) ■ 2000. 재외동포관련 문헌자료 목록, 재외동포재단 (공저) ■ 2000. 인구 · 경제발전 · 환경, 한울 (공역) ■ 2001. 지리학사, 한울 (공저) ■ 2001. 세상을 변화시킨 열 가지 지리학 아이디어, 한울 (공역) ■ 2001. 공간이론의 사상가들, 한울 (공저) ■ 2002. 노동시장의 지리학 : 공간적 맥락에서 본 취업과 실업, 한울 (공역) ■ 2002. 도시의 이해 (초판) / 2005 (개정판) / 2009 (제3판), 박영사 (공저) ■ 2002. 지식정보사회의 지리학 탐색(초판) / 2012, (제2개정판), 한울 (공저) ■ 2003. 사회공간론 : 사회지리학 이론 발달사, 한울 (역서) ■ 2003. 한국지리지 충청편, 국토지리정보원 (공저) ■ 2003. 자립적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단위 설정 연구, 국토연구원 (공저) ■ 2004. 한국지리지 전라·제주편, 국토지리정보원 (공저) ■ 2004. 공간이론 석학과의 대화, 한울 (공저) ■ 2004. 통일에 대비한 행정수도 구상, 한국토지공사 (공저) ■ 2005. 대학과 지역발전 : 이론과 실제, 한울 (공저) ■ 2005. 현대 공간이론의 사상가들, 한울 (공저) ■ 2005. 국토지지연구의 방향 및 추진과제, 국토연구원 (공저) ■ 2006. 지방도시의 변화와 발전 동인 : 순천시를 사례로, 전남대학교 출판부 (공저) ■ 2006. 분권화시대 중앙정부의 지역정책 방향 연구 : 국제비교분석을 중심으로, 국토연구원 (공저) ■ 2007. 대한민국 국가지도집, 국토지리정보원 (공저) ■ 2007. The National Atlas of Korea,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(co-authors) ■ 2008. 발터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 : 남부 독일의 중심지, 나남 (공역) / 한국학술진흥재단 명저 번역 ■ 2008. 사회지리학의 이해, 푸른길 (공역) ■ 2008. 선집으로 읽는 한국의 도시와 지역, 박영사 (공편) ■ 2008. 국토경쟁력 강화를 위한 광역경제권 설정 및 발전구상, 국토연구원 (공저) ■ 2009. 알프레트 베버의 공업입지론, 나남 (역서) / 한국학술진흥재단 명저 번역 ■ 2009. The National Atlas of Korea,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/ 축쇄 보급판 (co-authors) ■ 2009. 통합적 지역개발사업 분석, 국토연구원 (공저) ■ 2010. 한국지명유래집 : 전라 · 제주편, 국토지리정보원 (공저) ■ 2010. 녹색의 나라·보금자리의 꿈, 토지주택연구원 (공저) ■ 2011. 지구·지방화와 다문화 공간, 푸른길 (공저) ■ 2011. 현대 경제지리학 강의 (초판) / 2024 (제3판), 푸른길 (공역) ■ 2011. 한국지명유래집 : 경상편, 국토지리정보원 (공저) ■ 2011. 한국형 국토발전 실천전략 연구(II), 국토연구원 (공저) ■ 2011. 한국형 국토발전 실천전략 연구(II) – 자료집, 국토연구원 (공저) ■ 2013. 헤트너의 지리학 : 역사본질방법(I), 아카넷 (역서) / 한국연구재단 명저 번역 ·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■ 2013. 헤트너의 지리학 : 역사본질방법(II), 아카넷 (역서) / 한국연구재단 명저 번역 ·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■ 2013. 한국지명유래집 : 북한편(I)·(II) , 국토지리정보원 (공저) ■ 2013. 미래 국토발전 장기전망과 실천전략(II), 국토연구원 (공저) ■ 2013. 미래 국토발전 장기전망과 실천전략(II) – 자료집, 국토연구원 (공저) ■ 2014. 한국지리지 광주광역시, 국토지리정보원·광주광역시 (공저) ■ 2014. 세계경제공간의 변동, 시그마프레스 (공역) ■ 2015. 세계의 도시를 가다 1 : 유럽과 아프리카의 도시들, 한울 (공저) ■ 2015. 한국지리지 전라남도, 국토지리정보원·전라남도 (공저) ■ 2015. 미래 국토를 선도하는 국토종합계획의 발전 방안, 국토연구원 (공저) ■ 2016. 공간계획론 : 공간계획적 논제를 이해하기 위한 서설, 푸른길 (역서) ■ 2016. 대한지리학회 70년사(1945-2015), 푸른길 (공저) ■ 2017. 새로운 지역격차와 새로운 처방 : 철근 콘크리트에서 지역발전 유발 지식서비스로, 박영사 (공저) ■ 2019. 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지리교육, 푸른길 (공저) ■ 2019. 한국사학진흥재단 30년사(1989-2019), 한국사학진흥재단 (공저) ■ 2021. 지리학의 재발견, 푸른길 (공역) ■ 2021. 국유지 관리와 활용사례 국제비교 연구, 국토연구원 (공저) ■ 2022. 초광역권 육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, 국토연구원 (공저) ■ 2023. 독일 국유지의 가치평가 : 군사시설 반환부지를 중심으로, 도서출판 한숲 (역서) ■ 2023. 유럽의 국유지 관리와 활용, 국토연구원 (공저) ■ 2024. 이념과 공간,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(공저) ■ 2024. Geography of Ibn Khaldun : Contemplations on the Scholar’s Contribution to Geography,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(co-authors) 주요 논문 ■ 1988. 농촌의 인구유출과 지역의 구조변동,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■ 1998. Entwicklung und Standortstruktur des Buerosektors in Seoul, Suedkorea, Eine Dissertation der Technischen Universitaet Muenchen, Muenchen ■ 1998. 서유럽의 지역주의론에 관한 고찰, 대한지리학회지 33(1) (공동) ■ 1998. Hauptstadtsuche und -verlegung als politische Symbolhandlungen: dargestellt am Beispiel der Stadt Berlin, Deutschland, Journal of Geography 32, Seoul National University ■ 1999. 현대 이탈리아의 국가발전과 지역의 정치경제학,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(1) ■ 1999. 독일 공간정책의 변화과정과 이념상에 관한 연구, 지리학연구 33(2) ■ 1999. 독일의 실업과 지역노동시장정책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(1/2) ■ 1999. 프랑스의 지방분권화 개혁과 지역발전, 서울대 한국사회과학 21(2/3) ■ 1999. 남북통일을 대비한 국토정책 방향, 성신여대 사회과학논총 12 ■ 2000. 한스 보벡의 사회공간론, 국토 222 ■ 2001. 제국주의의 변화와 공간의 재편 : 세계도시를 중심으로, 진보평론 8 ■ 2001. 독일 실업문제의 구조적 특성과 공간적 전개양상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(2) (공동) ■ 2001. 스페인의 국가발전과 지역주의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(3) ■ 2001. 독일 통일과 구 동독지역에 대한 공간정책, 지리학연구 35(3) ■ 2001. 대학과 지역발전 : 연구동향과 전망, 대한지리학회지 36(4) (공동) ■ 2001. 독일의 수도이전 : 베를린 천도과정과 그 함의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(4) (공동) ■ 2001. Planning and Citizen Participation: Focusing on the U.S. Context, The Studies in Regional Development 33(1) (co-authors) ■ 2001. 전남대학 졸업생의 취업구조와 지역발전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4(2) ■ 2002. 우리나라 지역지리학의 연구추세와 전망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8(2) ■ 2002. 베노 벨렌 : 세계화시대의 사회와 공간 – 사회지리학에의 도전, 국토 247 ■ 2002. Changes in National-Level Locational Pattern of Professional Sports Franchises in the U.S. during 1950-2001 : Focusing on Four Major Sports Leagues,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6(5) (co-authors) ■ 2002. 사무입지에 관한 도시경제지리학적 연구동향과 과제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5(2) ■ 2003. 국가 백년대계의 천도 : 그 당위와 쟁점, 건설저널 22 ■ 2003. 地政學의 르네상스에 관한 一考, 경북대 지리학논구 23 ■ 2003. 영국의 지역주의 운동과 지방 분권화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(2) ■ 2003. 다채로운 면모가 돋보이는 대도시 : 뮌헨, 국토 258 ■ 2003. 대학의 지식 및 기술이전과 지역발전 : 전남대학을 사례로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6(1) ■ 2003. 1990년대 이후 도시정치의 변화와 새로운 도시화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6(2) (공동) ■ 2003. 1990년대 광주의 도시화 과정과 새로운 발전, 지리학연구 37(4) (공동) ■ 2004. 지속가능한 발전과 새로운 도시화 : 개념적 고찰, 대한지리학회지 39(1) (공동) ■ 2004. 독일의 행정구역개편 : 주(州) 개편 논의의 경과와 방향, 지리학연구 38(2) (공동) ■ 2004. 독일 행정구역개편 논의의 배경과 전개방향, 전남대 지역개발연구 36(1) ■ 2004. 근대 독일 지역지리학의 성립과 발달과정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(3) (공동) ■ 2004. 대학 신입생의 특성과 취학권 : 전남대학을 사례로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(3) ■ 2004. 공공기관의 지방이전과 지역발전 : 지방대학과의 연계를 중심으로, 한국도시지리학회지 7(2) (공동) ■ 2005. 국토연구를 위한 지지편찬의 기본 방향과 내용체계 구상, 서울대 지리학논총 44 ■ 2005. 대학과 지역간의 교류 및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8(1) ■ 2005. 2012년 세계박람회 여수 유치를 위한 실천 전략, 전남대 지역개발연구 37(2) ■ 2006. 전후 독일 지역지리학의 연구동향과 쟁점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(2) ■ 2006. 한국의 중앙 집중화의 동인에 관한 검토, 지리학연구 40(1) ■ 2006. 독일의 여가 및 관광지리학 : 발전과정과 연구동향, 한국경제지리학지 9(1) ■ 2006. 한국 경제자유지구의 이념과 현실,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(1/2) (공동) ■ 2007. 살기 좋은 도시 미국 캘리포니아의 얼바인 : 발전과정과 주요 특성, 지리학연구 4(1) (공동) ■ 2007. 대학의 지역사회 봉사 : 전남대학을 사례로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0(1) ■ 2007. 우리나라 낙후지역 개발정책의 평가와 발전과제, 지리학연구 41(4) ■ 2007. 독일의 국토 및 지역계획 I : 성립과정과 조직체계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0(4) ■ 2007. 혁신도시 이전대상 기관 직원들의 이주 및 정착 의지: 광주/전남 공동혁신도시 나주를 사례로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(6) (공동) ■ 2007. 영산강 프로젝트와 나주 혁신도시, 광주 · 전남 21, 76(겨울호) ■ 2008. 지역격차의 새로운 차원으로서 ‘지역발전정책 개발역량’ : 비수도권 광역시의 사례 연구, 공간과 사회 29(1) (공동) ■ 2008. 세계의 유학생 동향과 국제적 이동 특성, 지리학연구 42(2) ■ 2008. 우리나라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 현황과 특성 : 이론적 논의와 실태 분석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(3) (공동) ■ 2008. 벨기에의 지역주의 : 역사 · 문화적 배경과 경제 · 정치적 현실, 지리학연구 42(3) (공동) ■ 2008. 독일의 도시 및 지역계획에 있어 주민참여 문제 : 목표와 기능 그리고 법적 토대를 중심으로, 지리학연구 42(4) ■ 2008. 21세기 지리학의 연구과제로서 재해, 전남대 현대사회과학연구 12 ■ 2009. Politische Geographie als raeumliche Konfliktforschung, Journal of Modern Social Science 13 ■ 2009. 독일의 광역경제권으로서 ‘메트로폴리탄지역’ 육성 정책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(4) (공동) ■ 2009. 개발도상국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: 독일어권을 중심으로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(5) ■ 2009. 경상북도청 신도시 건설에 따른 안동시의 도심 공동화 방지 방안 연구, 국토지리학회지 43(4) ■ 2009. 우리나라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와 그 배경에 관한 연구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(4) ■ 2010. 세계도시론의 검증 : 서울시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, 국토지리학회지 44(1) (공동) ■ 2010. 성장기구로서 인천송도 경제자유구역의 개발 특성, 국토지리학회지 44(1) (공동) ■ 2010. 대학의 지역 경제적 파급효과: 독일대학의 사례 분석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(4) ■ 2010. Die Universitaet als Regionaler Wirtschaftsfaktor: Dargestellt am Beispiel der Chonnam National Universitaet,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4(4) ■ 2010. 대도시 정책형성에서 시도연구원과 시민단체의 역할 : 광역 지자체의 도시지배구조 논의를 중심으로, 국토지리학회지 44(4) (공동) ■ 2010.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의 외국인 투자유치의 현안과제와 활성화방안, 전남대 현대사회과학연구 14 ■ 2011. 지역맞춤형 낙후지역 정책을 위한 지역 유형구분 및 특성분석 : 성장촉진지역정책의 사례연구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(1) (공동) ■ 2011. 초광역개발권 전략을 통해 살펴본 이명박 정부의 지역발전정책, 국토지리학회지 45(3) ■ 2011. 우리나라 광역경제권 정책의 추진현황과 발전과제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(5) ■ 2011. Songdo Free Economic Zone in South Korea: A mega-project reflecting globalization?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6(5) (co-authors) ■ 2011. 전라남도 모터스포츠산업 육성 방안, 전남대 지역개발연구 42(2) ■ 2011. 해외 초광역권 개발의 주요 동향과 사례 분석, 전남대 현대사회과학연구 15 ■ 2012. 한국지리지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국외지리지 분석 : 유럽, 아메리카 및 아시아의 8개국 지리지를 대상으로, 대한지리학회지 47(1) (공동) ■ 2012. On the Progress of Contemporary Korean Geography,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7(4) ■ 2012. 독일의 지방 행정구역 개편에 관한 고찰 : 구동독의 중심으로, 국토지리학회지 46(4) ■ 2012.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통한 지역차원의 일자리 창출, 전남대 현대사회과학연구 16 ■ 2013. 독일의 지방 행정구역 개편에 관한 고찰 : 구서독의 중심으로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(1) ■ 2013. 독일의 기후변화에 대응한 에너지정책에 관한 고찰 (I)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(1) ■ 2013. 독일의 기후변화에 대응한 에너지정책에 관한 고찰 (II)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(3) ■ 2013. Erwerbseintritt und -mobilitaet von Universitaetabsolventen und Regionalentwicklung: Dargestellt am Beispiel der Chonnam National Universitaet,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7(3) ■ 2013. 수도권과 비수도권 소재 공과대학간 경쟁력 격차에 관한 실증적 연구, 국토지리학회지 47(4) (공동) ■ 2013. 공동소비 개념과 공간이론 : 현실에의 시사점을 찾아서, 전남대 현대사회과학연구 17 (공동) ■ 2014.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체감 의료서비스 격차 : 암 치료 경험을 통한 실증적 연구, 국토지리학회지 48(1) (공동) ■ 2014. 광주광역시 지역 생협의 로컬푸드 활용구조, 국토지리학회지 48(2) (공동) ■ 2014. 로컬리티 재구성 과정에 대한 이론적 분석틀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(2) (공동) ■ 2014. Struktur und Entwicklung des Innovationsclusters in Deutschland: Das Beispiel Biotech Cluster Muenchen,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17(3) ■ 2014. 농촌의 인구유입과 지역변화 : 전라남도 장흥군의 귀촌을 사례로, 국토지리학회지 48(4) (공동) ■ 2015. Baseline correction using asymmetrically reweighted penalized least squares smoothing, RSC Analyst 140(1) (co-authors) ■ 2015. 대학과 기업 간의 협력 : 기술이전을 중심으로 한 전남대학교의 사례 분석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(2) ■ 2015. 독일의 국토 및 지역계획 II : 역사적 전개와 주요 계획프로그램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(3) ■ 2015. 지역발전 유발 지식서비스 : 개념 정의와 기존 이론과의 비교, 전남대 현대사회과학연구 18 (공동) ■ 2015. 한국에서 지역격차와 지역발전 유발 지식서비스 : 개념의 특성과 함의, 전남대 현대사회과학연구 18 (공동) ■ 2016. 우리나라 한계촌락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: 전라남도 고흥군을 사례로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(3) (공동) ■ 2016. 우리나라 화장품산업 가치사슬의 공간적 분포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(3) (공동) ■ 2017. 대학의 지역 경제적 파급 효과 : 지식이전을 중심으로 한 전남대학교의 사례 연구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(1) ■ 2017. 한국 도시의 미래 : 도시간 격차를 중심으로 한 시론적 연구, 국토지리학회지 51(1) (공동) ■ 2018. 대학과 기업 간의 협력에 관한 연구 : 독일의 대학을 사례로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(1) ■ 2018. Clusterfoerderung und -politik in Deutschland,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21(4) ■ 2018.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미권 및 불어권 국가에 있어 지역지리학의 발달, 전남대 현대사회과학연구 22 ■ 2019. 독일 지리교육의 발달 : 지리교육과정의 변천을 중심으로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5(1) ■ 2019. 지방자치단체장의 지역 비전과 지역발전정책 전개 간 연관성 분석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5(4) (공동) ■ 2020. 독일 에너지협동조합의 발달과 변화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6(1) ■ 2020. 이념과 공간 : 기존 논의의 재해석과 개념의 재구조화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6(4) (공동) ■ 2020. Regionalistische Bewegungen und Regionalismen in Europa, Journal of Modern Social Science 24 ■ 2021. 독일의 역량기반 지리 교육과정 및 교육표준에 관한 고찰, 한국지역지리학지 27(1) ■ 2021. FDI Trends in Uzbekistan: Spatial Patterns Really Matter, Theoretical & Applied Science 2021/06(98) (co-authors) ■ 2021. 국유지 관리제도와 관리기구 : 독일 사례와 시사점, 국토연구원 국토정책 Brief 837 (공동) ■ 2021. 이념과 현실, 전남대 현대사회과학연구 25 (공동) ■ 2021. 지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프랑스의 '노란조끼 운동', 전남대 현대사회과학연구 25 (공동) ■ 2021. The Migration Process after Independence of Kazakhstan, Journal of Modern Social Science 25 (co-authors) ■ 2022. 이념과 공간 : 주요 공간개발 사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검토, 국토지리학회지 56(1) (공동) ■ 2022. The Spatiality of Gender Equality and Women's Leadership Positions in New Uzbekistan,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e and Modernity 18 (co-authors) ■ 2022. 독일의 지역산업 클러스터 정책 : 바이에른주의 사례연구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5(4) (공동) ■ 2022. 인과론적 이념-현실 모형 : 클리퍼드 기어츠, 안토니오 그람시와 연관해서, 전남대 현대사회과학연구 26 (공동) ■ 2022. A Study on the Role of Geography in Public Health, Journal of Modern Social Science 26 (co-authors) ■ 2023. 인구감소지역의 기초생활인프라 입지 적정성 우선순위 평가 연구 : 융복합 돌봄시설을 사례로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9(2) (공동) ■ 2023. 프랑스의 지방분권화와 행정구역 개편,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9(2) (공동) ■ 2023. Essay : Humanist Perspective of Space and Place, Formosa Journal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2(6) (co-authors) ■ 2023. Health Geography : Exploring Connections between Geography and Public Health,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26(2) (co-authors) ■ 2023. 해외 군사시설 반환부지 활용과 시사점 : 독일 사례, 국토연구원 국토 500 (June 2023) ■ 2023. Theological Reflections in the Age of Climate Change: A Reflection on the Jellyfish Metaphor, Pharos Journal of Theology 104(4) (co-authors) ■ 2023. Geography, Experience, and Imagination : A Review of Lowenthal’s Work,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Publication and Reviews 4(6) (co-authors) ■ 2023. Rereading Jürgen Essletzbichler’s Chapter – Locating Location Models, Journal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Human Rights 2(7) (co-authors) ■ 2023. Linking Keynesian Theory to Economic Geography,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disciplinary: Applied Business and Education Research 4(9) (co-authors) ■ 2023. Endless Role of Geography – Revisiting Green Spaces in Uzbekistan, Universal Journal of Geoscience 10(1) (co-authors) ■ 2023. 이념과 공간 : 공간 이념의 의도 및 결과의 유형화에 관한 논리적 추론, 국토지리학회지 57(3) (공동) ■ 2023. Peter Dicken. Global Shift, Seventh Edition: Mapping the Changing Contours of the World Economy, Journal of Scholarly Publishing 54(4) (co-authors) ■ 2023. Green Spaces in Uzbekistan : Historical Heritage and Challenges for Urban Environment, Nature-Based Solutions 4 (December 2023) 100077 (co-authors) ■ 2023.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and Elimination of Water Scarcity : A Case Study in a Remote District of Uzbekistan, Revue Roumaine de Géographie/Romanian Journal of Geography 67(2) (co-authors) ■ 2023. Illumination of Divine Love : Rediscovering the Hikmats of Sufi Ahmad Yasawi, Afkar – Jurnal Akidah & Pemikiran Islam 25(2) (co-authors) ■ 2023. Regional Innovation Clusters Policy in Germany : Focusing on the State Baden-Württemberg,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26(4) (co-authors) ■ 2023. ‘광주천 다리’를 활용한 초등학교 지역학습 교재개발 연구, 초등교육연구 36(4) (공동) ■ 2023. Exploring the Interplay of Healthcare, Spirituality, and Urban Well-Being, Pharos Journal of Theology 104(5) (co-authors) ■ 2024. Interconnected Challenges : An Ethical Discussion of Climate Change through the Jellyfish Metaphor, SN Social Sciences 4(2): 8 (co-authors) ■ 2024. Analyzing Free Economic Zones in Uzbekistan for Sustainable Growth, Indonesian Journal of Geography 56(1) (co-authors) ■ 2024. Critical Analysis of Marxist Ideas in Modern Urban Planning, Cities 148 (May 2024) 104843 (co-authors) ■ 2024. Examination of Regional Water Governance and Water Insecurity Issues in Central Asia, Sustainable Water Resources Management 10(3): 118 (co-authors) ■ 2024. Perspectives on Urban Injustice : Revisiting Social Geographies of Justice, Cities 150 (July 2024) 105041 (co-authors) ■ 2024. Urban Soil Dynamics :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Health and Urbanization, Journal of Asian Geography 3(2) (co-authors) ■ 2024. Intersectional Analysis on Masculinities within Geographical Discourse, In: Warf, B. (ed.) The Encyclopedia of Human Geography, Springer Cham (co-authors) ■ 2024. Queer Theory and Geography – Crossing of New Perspectives and Traditional Principles, In: Warf, B. (ed.) The Encyclopedia of Human Geography, Springer Cham (co-authors) ■ 2024. Revisiting the Aral Sea Crisis : A Geographical Perspective,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81(6) (co-authors) ■ 2024. 윤리의식으로 기후 위기 극복하기, 타우마제인(Thaumazein) 4 (공동) ■ 2024. An Overview of Al-Biruni’s Lasting Contributions to Cartographic Science, The Cartographic Journal 61(-) (co-authors) ■ 2024. 빼기의 도시 쾌적성 : 탐색적 연구, 국토지리학회지 58(4) (공동) ■ 2024. Economic Geographic Perspectives on Poverty Reduction Strategies: Case Study on Uzbekistan, Journal of Modern Social Science 28 (co-authors) ■ 2025. Integrating Ibn Khaldun's Insights into Urban Sustainability, SN Social Sciences 5(4): 49 (co-authors) ■ 2025. 역사적 인식의 관점에서 고찰한 프랑스 산업정책의 변화,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8(1) (공동) ■ 2025. Geopolitical Isolation and Development in Uzbekistan’s Sokh Enclave, Geojournal 90(-) (co-authors) ■ 2025. Hajj Pilgrimage and Spatial Behavior in Sacred Space,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eligious Tourism and Pilgrimage 13(-) (co-authors) ■ 2025. Power of Sustainable Cooperation: Revisiting Water Management in Central Asia, In: Brinkmann, R. and Oo, C.W. (eds.), The Palgrave Handbook of Practical Sustainability, Springer Palgrave Cham (co-authors) ■ 2025. Mahmud ibn Vali and the Persianate geography of early modern Eurasia, The Seventeenth Century 40(-) (co-authors)